•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인사말
      • 중앙연합회 소개
      • 주요연혁
      • 조직소개
      • 사업현황
      • 오시는 길
      • 중앙회 주요활동
      • 성명 및 논평
      • 지방연합회 주요활동
      • 학생미술대전
      • 농업기술길잡이 소개
      • 농업농촌정책자료
      • 과학영농기술정보지
      • 공지사항
      • 일정표
      • 업무자료실
      • 자유게시판
    과학영농 기술정보지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한우 ‘전업농 규모’ 최소 100두 이상이 바람직”


       현행 50두 이상인 한우 전업농 규모 정의를 최소 100두 이상으로 재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주장은 최근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발주하고 경상국립대학교가 수행한‘한우 농가 유형 구분 설정 연구’결과에서 나왔다.


    이번 연구는 한우 사육 농가에 대해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한우농가의 사육유형을 구분해 맞춤형 한우 산업 발전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실시됐다.
    경상대 연구팀은 소득을 기준으로 전업농업인과 비전업농업인을 구분했다.


    전업농업인을‘전문농업 기술 및 경영능력을 갖추고 농업 발전에 중추적이고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농업인’으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 26조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정확한 정의를 내리지는 못하고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시가구(2인이상, 근로자가구: 평균 가구원 수 3.1명) 근로소득이 평균 약 6,200만 원 수준임을 고려할 때, 현행 50두 이상인 전업농의 규모 정의를 최소 100두 이상으로 재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력제상 100두 이상 규모 농장 수는 전체의 농장 수의 8.9%(7,998개), 사육두수는 전체 사육두수의 41.5%(141만7,000두) 수준이다.
    연구팀은 또한 한우농가의 유형을 개인과 법인으로 구분했다.


    법인 여부에 따라 개인과 법인으로 구분 지었으며 농장수의 0.9%(820개), 전체 사육두수의 4.8%(16만3,000두) 수준의 법인의 경우 개인과 달리 많은 세제 혜택을 받고 있고, 규모가 큰 경우가 많아 개인 농가와 달리 구별해 그에 맞는 정책적 처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기대수명 증가 등으로 고령농에 대한 기준을 70세 로 규정하고 기타 농가를 청장년농으로 정의했으며 사육 방식에 따라 번식농가와 일관사육농가, 비육농가로 분류했다.


    이력제 자료상(2021년 기준) 번식 농장수는 4만2,455개로 전체 농장의 47.3%, 비육 농장수는 8,130개로 전체농장의 9.1%, 일관사육 농장수는 3만9,239개로 전체 농장의 43.7%로 나타났으며, 사육 방식에 따라 수급상황, 경영상황 등에 연관지어 맞춤형 정책을 처방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