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인사말
      • 중앙연합회 소개
      • 주요연혁
      • 조직소개
      • 사업현황
      • 오시는 길
      • 중앙회 주요활동
      • 성명 및 논평
      • 지방연합회 주요활동
      • 학생미술대전
      • 농업기술길잡이 소개
      • 농업농촌정책자료
      • 과학영농기술정보지
      • 공지사항
      • 일정표
      • 업무자료실
      • 자유게시판
    과학영농 기술정보지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농업의 미래, ‘미생물’에 달렸다

    농업 분야에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미생물’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 화학농약 등과 견줘 성과가 떨어지지 않는데다 화학제품에 찌든 토양을 복원하는 역할까지 그 기능이 무한대로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은 농업미생물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영역 개척에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우선 폐비닐과 잔류농약을 미생물로 처리해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2016년 한 해 동안 농촌에서 비닐하우스·바닥덮기 등에 사용한 비닐은 31만여 톤, 그러나 수거된 양은 20만여 톤(65.5%)에 그쳐 심각한 환경문제로 불거지고 있다.


    농진청은 이 문제를 해결키 위해 오는 2020년부터 5년간 ‘미생물을 활용한 농업환경 문제 개선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토양오염의 주범인 농업용 폐플라스틱과 잔류농약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선발하고 이를 통해 분해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농진청은 또 발효미생물 분야에도 뛰어든다. 국산 우수 종균(種菌, 씨앗미생물)의 자원화를 강화하고 기능성 신소재를 개발하는 등 연구 영역을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발효식품의 기능성 확충과 실용화를 위해 양조용·식초용 등 품목별로 우수한 토착종균 발굴과 관련 기반 연구도 함께 강화한다.


    또한 장내 미생물 군집을 활용해 ‘식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발효 기술에 적용해 한약재 이용성 확대 등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과수화상병 등 고위험 식물 병해충을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의 차폐시설(BL3)을 설치해 신속한 전염경로의 파악과 함께 피해경감 기술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관련 예산(차폐시설 설치에 필요한 예산 250억원(기본 설계비 3억원 포함)과 연구개발비 예산 240억원(2020~2024)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심의를 거쳐 내년 예산에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화학농약과 미생물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농약 개발, 미생물을 활용한 가축의 면역력 증진 기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체계적으로 실행키 위해 토양, 작물, 발효식품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정보를 대량으로 확보해 맞춤형 활용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국 농경지(논, 밭, 과수원, 시설재배지)에 분포한 미생물을 데이터화해 작물별 맞춤형 핵심 마이크로바이옴을 구축하고 장류, 주류, 식초 등 전통 발효식품을 생산 단계별로 표준화해 이를 통한 마이크로바이옴 정보를 토대로 고른 품질과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한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농진청은 미생물 자원 활용을 위해 발효식품과(2008년)와 농업미생물과(2010년)를 신설하고 미생물 자원의 효율적 관리, 병해충 방제 활용, 발효식품 개발 등을 위한 기초를 다졌다.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운영 중인 미생물은행에서는 지난해 기준으로 일반 미생물 2만 3,456점, 특허미생물 1,919점, 발효종균 87종을 확보해 보존하고 있다. 또한, 3만 8,931점을 산업체와 연구기관 등 외부기관에 분양했다.


    농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농업용 미생물제와 발효종균 등에서 관련 특허를 69건 등록하고, 15종을 산업화했다. 이 중 작물재배용 미생물제(엑스텐)와 축산용 미생물제(바이오프로)의 기술이전을 통해 각각 158억원, 21억원의 매출을 올린바 있다. 특히 우수 토착종균 자원화 노력으로 주류 제조 등에 쓰이는 수입종균 비용을 1/4로 낮추는 성과도 거뒀다.


    국립농업과학원 이용범 원장은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미생물은 유전적으로 다양한 기능성이 있어 국가적 난제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미래자원이다”면서 “미생물을 이용해 농업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마이크로바이옴 핵심 기술을 선점해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서 미생물의 새로운 영역을 선제적으로 개척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