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인사말
      • 중앙연합회 소개
      • 주요연혁
      • 조직소개
      • 사업현황
      • 오시는 길
      • 중앙회 주요활동
      • 성명 및 논평
      • 지방연합회 주요활동
      • 학생미술대전
      • 농업기술길잡이 소개
      • 농업농촌정책자료
      • 과학영농기술정보지
      • 공지사항
      • 일정표
      • 업무자료실
      • 자유게시판
    과학영농 기술정보지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농어촌지역 응급의료서비스 여전히 ‘취약’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응급의료서비스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농어촌지역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대도시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농어촌지역 가운데서도 시 지역에 비해 군 지역의 응급의료 서비스 수준이 매우 낮았다.


    국토연구원은 최근 ‘응급의료 취약지도로 본 농촌 VS 도시’ 보고서에서 특·광역시, 특별자치시를 제외한 152개 시·군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3가지 종합의료와 응급서비스 시설 접근성(500m격자)과 취약인구비율(영·유아, 고령자)을 활용해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평가했다. 취약인구는 영·유아(7세 이하)와 고령인구(65세 이상)를 합산한 인구를 활용했으며, 취약인구의 분석은 각 시설에서 도로 이동거리 10km(20분)의 서비스권역 바깥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의 비율을 활용했다.
    그 결과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의 거점도시는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양호하고 서비스권 외 취약인구비율도 낮은 편이었지만 농촌과 산간, 일부 해안지역은 취약해 지역 편차가 컸다.


    취약인구비율을 시설별로 살펴보면 종합병원은 시가 26.3% 군이 85.2%로 58.9%의 격차를 보였다. 군 지역 주민 10명 중 8명가량은 집에서 반경 10km 내에 종합병원이 없다는 뜻이다. 또 세종시와 경북 경주·영주시, 경남 사천시, 경기 남양주시와 양평군 등 6개 지역은 취약인구가 3만명이 넘어 지원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응급의료시설 역시 시가 20.5% 군이 60.3%로 39.8%, 소방서는 시가 6% 군이 28.9%로 22.9%의 차이가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상북도가 ‘매우취약’과 ‘취약’ 지역이 11개 시군으로 가장 많았고, 경상남도가 10곳, 강원도가 9곳으로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국토연구원은 농촌은 소수의 취약인구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도시는 반대로 많은 인구가 좁은 지역에 분포해 도·농간 응급의료 서비스 지원 전략의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손재선 책임연구원은 “취약인구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의료서비스 체계마련이 시급하다”면서 “공간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종합평가한다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대응과 의료체계 개선 시 취약지역 타깃팅 등 차등적 지원, 우선 지원 시급지역 파악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